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정신연동 이론 개요 등 간단 정리

by 현실직시 2024. 8. 21.

[목차]

정신 역동 이론개요

- 정신역동이론은 인간의 심리과정을 이해하기 위해 무의식의 역할을 강조합니다. 정신분석에 관한 연구는 프로이트가 히스테리의 심리적인 원인 규명과 치료 기법을 연구하면서 시작되었습니다. 프로이트는 역동적 정신 구조 모델에서 정신을 세 가지로 구분했는데 먼저 자신의 욕망에 따라 행동하려고 하며 본증적이고 쾌락을 추구하는 상태인 원초아 현시실적으로 문제가 될 수 있는 행동 또는 정신을 검열하고 현실적인 상황에 맞춰서 논리적으로 변화시키는 역할을 하는 자아 더덕정 행동을 행동을 정제해 주는 초자아등이 있습니다. 이는 개인의 행동, 감정, 그리고 대인관계가 내적 갈등과 과거 경험에 의해 형성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프로이트의 지형학적 정신 구조

- 프로이트는 정신 분석학의 창시자로, 인간심리의 복잡성을 탐구했습니다. 그는 정신 구조가 정신 에너지라는 것을 이용하고, 나아가 개인이 어떤 결정과 행동을 하게 끔 한다고 했습니다.  프로이트는 인간의 정신을 세가지 구조라 누너었습니다. 이드, 자아, 초자아로 나눕니다.  먼저 프로이트는 정신을 구성하고 있는 각기 다른 특성을 지닌 경향드들을 지형학적으로 비유해서 표현했는데, 이를 지향학적 정신구조론이라고 합니다.  확실히 나누어 시각적으로 이해하기 쉽도록 지형학에 비유한 것입니다.  의식은 사람이 현재 감각 기관, 경험, 기억, 자각 등을 통해서 관찰하고 느끼는 모든 내용을 지칭합니다. 전의식은 현재는 자각하고 있지 않지만 과거의 경험이나 자각했던 것이 머물고 있는 곳입니다. 전의식은 무의식과 의식 사이에서 완충 지대 역할을 합니다. 무의식에 있던 생각이나 자각들이 아무런 과정을 거치지 않고 바로 의식 부분으로 넘어가면서 혼란스럽거나 현실과 맞지 않는 상황이 생겨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는 역학을 하는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무의식은 사람이 일부러 인식하려고 해도 자각할 수 없는 부분으로, 자신도 잘 알지 못하는 욕구나 본능, 환상 등이 자리 잡고 있습니다. 여기에는 능적으로 숨기고 싶어 하는 부분이나 , 과거의 상처, 트라우마 등도 포함되며, 사회적으로 받아들여지기 힘든 욕구들이 많이 있기 때문에 무의식 내용이 의식 부분으로 다듬어지지 않고 넘어와서 표출될 경우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이런 지형학적 구조를 만든 프로이트는 이후에 스스로의 이론에 한계를 느꼈습니다. 신경증의 원인을 의식과 무의식 사이의 갈등에서 비롯된다고 가정했던 지향학적 구조는 의식과 무의식 사이가 아닌 무의식 자체 내에서 생겨나는 갈등과 쿤제를 설명하기에 한계가 있었습니다.  마지막으로 지형학적 구조는 무의식과 의식을 분리시키려고 하는즉 신경증으로 대표되는 정신적 문제를 억제하고 해결하려는 힘을 설명하기에 부족한 점이 있었습니다.

지그문트 프로이트 

-프로이트는 정식 분석학의 창시자로, 인간 심리의 복잡성을 탐구했는 인물입니가. 그는 무의식을 통해 나타나는 심리적 갈등이 개인의 행동과 감점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려 했습니다. 또한 정신분석이론의 창시지로 유명한 프로이트는 학자이자 사상가로서 심리학 및 정신 의학뿐만 아니라 인류학, 범죄학, 사회학 등 여러 분야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프로이트는 병원을 운영하면서 정신분석 이론을 본격적으로 연구하기 시작하였습니다. 초창기에는 정신분석이라는 용어는 프로이트가 정식 의학과 차이를 두기 위해서 사용한 용어입니다. 히스테리에 관심을 가지고 이를 치료하고자 히스테리의 심리적인 원인 규명과 치료기법을 연구하면서 시작되었습니다. 무의식을 인식하기 어려워하거나 너무 고통스러워하는 사람은 무의식 속에 있는 원인이나 현상을 무리해서 마주하게 하려고 하지 않았습니다. 이처럼 그는 의식과 무의식, 그리고 사람들의 정신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신경증들을 모어서 연구하였습니다.  또한 정신분석 이론에는 전반적으로 나타나는 전제나 특징들이 존재합니다. 프로이트는 인간의 정신에서 행동이 나온다고 생각하였습니다. 즉, 인간이 밖으로 표현하는 모든 행동은 그 인간의 정신 활동한 과정에 따라서 나온 결과물이라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는 어린 시절의 경험이나 정신 구조의 성립이 이후에 고착되어서 변하지 않고 이어진다고 하였습니다. 또한 인간의 내적욕구와 무의식의 존재를 인정하며 인간의 정신구조나 과정을 명확하게 밝히거나 확정하기 어려운 이유를 무의식에서 찾았습니다.  

역동적 모델

- 인간의 행동이 이드, 자아, 초자아 간의 갈등에 의해 결정된다고 설명합니다. 이모델은 무시의식적인 갈등이 개인의 감정과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기 위한 틀을 제공합니다. 유전적인 영향을 고스란히 받은 원초아는 완전히 무의식적인 영역에 속하면 동물적이고 자제력과 분별력이 거의 없습니다. 현실 상황을 고려하거나 판단하는 능력이 결여되어 있으며, 쾌락 원리를 따르고, 그에 따라 자연스럽게 파괴적이거나 비합리적, 무분별한 모습이 강합니다. 그러나 정신 구조에서 원초아는 에너지원 역할을 맡고 있으며 원초아와 자아, 초자아 중에서 가장 자유로운 정신 에너지의 흐름을 상징합니다. 이렇게 다듬어지지 않고 본능적으로 행동하려고 하는 충동적인 원초아가 지배하는 인간은 사회에서 살아남기 힘들고 외부 상황과 계속 마찰을 빚는다, 따라서 이러한 현실세계와의 대립을 해소하고 다른 개체와 사회 속에서 갈등을 줄이고 생활하기 위해 2~3세에 자아가 형성됩니다. 원초아가 본능적이고 충동적인 반면, 자아는 현실적이고 이상적인 특징이 있습니다. 지형학적 모델에서 해석할 수없었던 의식과 무의식 사이에서 통제하고 억제하려는 힘을 바로 자아라고 볼 수 있습니다. 자아의 또 다른 기능은 외부 세계에서 원하는 것과 원초아가 원하는 것 사이의 간극을 정확하게 인지하고 둘 사이를 조정해서 통합적으로 정신 활동을 운영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자아는 외부의 자극을 정확히 지각하고 판단하는 작용과 함께, 스스로의 경험과 정신 활동을 돌아보는 성찰까지 하기도 합니다.